업무를 하다 보면 '부가세 포함'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거래처에 10만 원짜리 물건을 판매했는데, 이 10만 원에 부가가치세 10%가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이럴 때 엑셀만 있다면 원금(공급가액)과 부가세를 정확하게 분리해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엑셀로 부가세 포함 금액을 역산하는 간단한 수식과 함께, 여러분이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계산 템플릿 양식까지 알려드겠습니다.
1. 부가세 계산의 핵심 원리 이해하기
부가세 계산은 기본적으로 다음의 공식에 따릅니다.
원금 (공급가액) + 부가세 (원금의 10%) = 총액 (공급대가)
따라서, 부가세가 포함된 총액에서 원금과 부가세를 역으로 계산하려면 이 공식을 반대로 적용해야 합니다.
총액 = 원금 × 1.1
위 공식을 역으로 바꾸면,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에서 **원금(공급가액)**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금 = 총액 ÷ 1.1
2. 엑셀 수식으로 부가세 역산 계산하기
이제 이 원리를 엑셀에 직접 적용해 보겠습니다. 여러분이 만든 양식과 같이, 최종 합계가 10,000원일 때를 예시로 들어볼게요.
엑셀 표 만들기: 위 이미지와 같이 품목, 수량, 단가, 금액, 부가세, 합계 등을 포함한 표를 만듭니다.
단가 입력하기: 합계(D2) 셀에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인 10,000원을 입력하세요.
원금(금액) 계산하기: 이제 금액(E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합니다.
=(C2*D2)/1.1
10,000 ÷ 1.1을 계산하여 9,091원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부가세 계산하기: 다음으로 부가세(F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합니다.
=E2 *10%
총액 10,000원에서 원금 9,091원을 빼서 909원이라는 부가세가 계산됩니다.
3. 더 쉬운 방법: 엑셀 템플릿 다운로드 및 활용
매번 수식을 입력하기 귀찮다면, 제가 만든 엑셀 템플릿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해 보세요. 총액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원금과 부가세가 계산되어 훨씬 편리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엑셀 팁을 활용하여 부가세 계산을 쉽고 정확하게 처리하시길 바랍니다. 엑셀 수식은 한번만 만들어 놓으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여러분의 업무에 적용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에는 더욱 유용한 엑셀 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