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엑셀 백업 파일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작업 중 이런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열심히 작성한 보고서를 저장 직전에 엑셀이 다운된 경우 또는 실수로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고 '닫기' 버튼을 클릭한 경우 있지 않나요?
이럴 때 자동으로 저장된 백업 파일이 있다면 손쉽게 복구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작업 환경이 바뀔 때 마다 '자동 복구 저장 간격'과 '자동 복구 파일 위치'를 확인해 놓습니다.
엑셀 백업 파일 설정
가장 먼저 작업해야 할 것은 자동으로 저장 되는 시간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기본 10분 저장에서 1분에서 3분 간격으로 저장되게 변경하는 것입니다.
1. 메뉴 상단 파일에서 옵션 순으로 선택합니다.
2. 왼쪽에 있는 '저장' 메뉴를 클릭합니다.
3.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 옵션을 1분으로 설정합니다.
3. "마지막으로 '저장하지 않고 닫은 경우 마지막으로 자동 복구된 버전 유지" 이 분에 꼭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하단에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옵션을 저장합니다.
👉 이 설정만 해도 실수로 그냥 닫거나 갑자기 다운되었을 때 작업 직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저장되지 않은 통합 문서 복구
저장하지 않고 그냥 닫은 문서도 복구 할 수 있습니다.
1. 상단 메뉴에서 "파일"을 선택합니다.
2. "열기"를 선택하고 하단에 "저장되지 않은 통합 문서 복구"를 클릭합니다.
3. 저장하지 않고 닫은 엑셀 통합 파일이 임시 저장되어 있습니다.
마무리
엑셀 파일 백업 설정은 사실 몇 번의 클릭이면 간단하게 끝나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이 설정을 하지 않았을 때 중요한 작업 문서가 없어진다면 정말 힘들 것입니다.
아직 설정은 하지 않은 분들은 꼭 설정해 두시기 바랍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