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에서 글자 뒤 배경색이 지워지지 않나요? 글자 모양, 문단 모양, 형광펜 기능에 따라 배경색을 없애는 방법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3가지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한글 글자 배경색 없애기 3가지 방법
한글 문서 작업을 하다 보면 글자 뒤에 색이 칠해져서 보기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글자 배경색은 글자 모양, 문단 모양, 형광펜 세 가지 방법으로 적용되며, 없애는 방법 역시 세 가지 모두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각 방법별로 한글 글자 배경색을 없애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글자 모양에서 배경색 없애기
글자 모양에 배경색이 적용된 경우, 다음 단계를 따라 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배경색이 들어간 글자를 드래그하여 블록을 지정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글자 모양’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Alt + L을 누릅니다.
- ‘기본’ 탭에서 음영 색 → 없음을 선택하고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글자 배경색이 사라진 것을 확인합니다.
※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입력 시 직접 배경색을 넣었던 경우에 사용됩니다.
2. 문단 모양에서 배경색 없애기
글자 배경색이 아니라 문단 전체에 배경색이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문단 모양에서 제거해야 합니다.
- 해당 문단을 블록으로 지정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문단 모양’을 선택합니다.
- 상단 탭에서 ‘테두리/배경’을 클릭합니다.
- 배경 → 면 색 → 없음을 선택하고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이 방법은 특히 엑셀 표를 한글로 복사해 왔을 때 자동으로 생기는 배경색을 지울 때 유용합니다.
3. 형광펜 배경색 없애기
형광펜으로 칠해진 글자는 글자 모양이나 문단 모양 설정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 지워야 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서식 → 형광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형광펜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색이 칠해진 글자를 블록으로 선택하면 색이 제거됩니다.
형광펜 색은 별도로 적용되므로, 글자 모양에서 음영 색이 없음으로 표시되어도 색이 남아 있다면 이 기능으로 지워야 합니다.
정리
지금까지 한글에서 글자 배경색을 없애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글자 모양, 문단 모양, 형광펜 기능은 모두 배경색을 넣거나 지울 수 있는 기능이므로 상황에 따라 어떤 기능으로 색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엑셀에서 복사한 표나 문서를 붙여넣을 때 생기는 배경색은 대부분 문단 모양의 배경색이므로 이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