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에서 자료 중 개인 정보처럼 중요한 자료는 암호를 설정해 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개인 정보가 들어가 있거나 예산 자료 같이 민감한 자료는 암호를 설정해 놓고 사용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엑셀 암호설정 2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암호 설정 2가지 방법

엑셀 암호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파일 자체를 잠그는 암호설정 방법과 열기는 가능하지만 편집은 불가한 '쓰기 암호 설정' 방법이 있습니다.

2가지 방법 중 상황에 맞게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파일 자체 잠그는 엑셀 암호 설정 방법

가장 기본적인 암호 설정 방법입니다. 이 암호를 모르면 파일을 아예 열 수 없기 때문에 가장 강력한 보안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긴 합니다.

저는 개인 정보 파일을 들어 있는 파일을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정 방법

1. 엑셀 상단 메뉴에서 [파일] 탭을 클릭합니다.
엑셀 상단 메뉴에서 파일 탭 선택하는 모습

2. [정보] 메뉴를 선택하고 [통합 문서 보호]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통합 문서 보호 선택하는 모습

3. 드롭다운 메뉴에서 [암호 설정]을 선택합니다.
엑셀 암호 설정 메뉴 선택하는 모습



4.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위해 한 번 더 입력합니다.

엑셀 암호를 입력하는 모습

정말 간단하지요?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설정한 암호를 잊어버리면 파일을 다시 열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저도 암호를 설정했다가 잊어버려서 고생한 경험이 있습니다. 

2. 쓰기 암호 설정 방법

쓰기 암호 설정 방법은 파일 내용을 보여줘도 괜찮지만 다른 사람이 수정하는 것을 막고 싶을 때 사용하면 유용한 기능입니다.

설정 방법

1. 엑셀 상단 메뉴에서 [파일] 선택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찾아보기]를 클릭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

2.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하단의 [도구] 버튼을 누르고 [일반 옵션]을 선택합니다.
엑셀 도구에서 일반 옵션 설정 선택하는 모습


3. '일반 옵션' 창이 뜨면 '쓰기 암호'란에 원하는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쓰기 암호 설정

4. 암호를 한 번 더 입력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다른 사람이 파이를 열 때 암호를 입력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내용을 확인하고 복사는 가능하지만 수정하고 저장하려면 쓰기 암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원본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데이터  서식을 보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시트 보호 암호 설정'과  다른 사람이 시트의 순서를 바꾸거나 삭제, 추가 등 구조를 변경하지 못하게 막는 '통합 문서 구조 보호'도 있습니다.

각각의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효율적으로 파일을 관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꼭 칼퇴근 하시길 바랍니다.